JavaScript 22

[JavaScript] 반복문에 대해서 알아보기

안녕하세요. 이번에는 JavaScript 반복문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먼저 반복문은 같은 내용을 여러 번 출력해야 할 때 1개씩 전부 적어주는 방식이 아닌 프로그램 코딩을 이용해서 자동으로 작성되게 실행하여 일을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방법입니다. 반복문 사용에는 대표적으로 2가지가 있는데, for 문과 while 문이 있습니다. 1. For 문 기본 작성 방법 for ( 초기문; 조건문; 증감문 ){ // 조건문의 결과가 참인 경우 반복적으로 실행하는 명령문 } 초기문 ⇒ var i = 0 / 조건문 ⇒ i < 10 / 증감문 ⇒ i++ 초기문에서 i라는 변수를 생성하는데 0이라는 값을 할당합니다. 중괄호 안에 있는 명령문을 실행하는데 i 값이 10보다 작은 경우에는 계속 실행을 합니다. 코드가..

JavaScript 2023.01.13

[JavaScript] 조건문에 대해서 알아보기

안녕하세요. 이번에는 JavaScript 조건문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조건문 특정 조건 만족 시 ( 조건이 참인 경우 ) 실행하는 명령의 집합이며, 특정한 조건 속에서 작업을 수행하고 싶을 때 사용한다. 대표적으로 사용하는 방식에는 if 문과 switch문을 사용하는 2가지 방법이 있습니다. 1. if 문 기본 작성법은 아래 방법처럼 작성을 하면 되며 방법은 3가지 유형으로 나뉠 수 있습니다. if ( 조건 ) { 실행 내용 } ----------------------- if ( 조건 ) { 실행 내용 } else { 실행 내용 } ----------------------- if ( 조건 ) { 실행 내용 } else if ( 조건 ) { 실행 내용 } else if ( 조건 ) { 실행 내용 } e..

JavaScript 2023.01.11

[JavaScript] 함수에 대해서 알아보기

안녕하세요. 이번에는 JavaScript 함수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함수 특정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독립적으로 설계된 코드 집합입니다. 기본 작성 방법 // 함수 생성 function 함수 이름() { 실행 코드 } // 함수 실행 함수이름(); 간단한 함수를 1개 생성 및 실행합니다. sesac() 함수를 실행해서 콘솔창에 ‘sesac hi!’라는 메시지를 출력하였습니다. 이번에는 함수명의 () 안에 abc라는 매개 변수를 추가하여 실행해 봅니다. 매개 변수는 함수에서 사용할 값을 함수를 사용할 때 받아서 사용할 때 사용이 됩니다. alert() 함수는 경고 창처럼 출력하는 함수입니다. sesac2(’용산’)을 실행하면 abc에 용산이라는 값이 들어가게 됩니다. 그래서 결과는 용산 hello라는 값..

JavaScript 2023.01.09

[JavaScript] 연산자에 대해서 알아보기

안녕하세요. 이번에는 JavaScript 연산자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1. 대입 연산자 = 변수에 값을 대입할 때 사용하는 연산자입니다. ex) let a = 1; 2. 비교 연산자 ==, !=,===, !==, >, >=, a와 b는 같지 않다. 3. 산술 연산자 +, -, *, / 계산할 때 사용하는 연산자입니다. 4. 논리 연산자 !, &&, || 조건을 여러 개 사용하는 경우에 사용하는 연산자입니다. && ⇒ and로 생각하시면 됩니다. ex) a == 1 && b == 2 =⇒ a가 1이고, b가 2인 경우에 해당 || ⇒ or로 생각하시면 됩니다. ex) a == 1 || b == 2 =⇒ a가 1이거나, b가 2인 경우에 ㅎ ㅐ당 5. 증감 연산자 (increment and decreme..

JavaScript 2023.01.07

[JavaScript] 형변환에 대해서 알아보기

안녕하세요. 이번에는 JavaScript 형변환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1. 형변환 JavaScript 코딩을 하다 타입 형까지 체크를 해야 하는 경우가 있고, 필요에 따라서는 결과 값을 원하는 타입으로 바꿔야 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결과 값도 지정해준 타입으로 나오면 좋겠지만, 어려운 경우에는 형 변환을 이용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먼저 console.log() 함수를 통해서 간단한 계산을 해봅니다. a = 1, b = 2라는 값을 설정하고 a+b를 실행해 봅니다. 그러면 제일 마지막의 a+b = 3 이 출력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이번에는 a를 문자로 설정한 후에 다시 계산을 해봅니다. 원래의 결과라면 위 그림과 동일하게 3의 값을 출력해야 합니다. 그러나 결과는 32라는 값이 출력이 되었습니다...

JavaScript 2023.01.06
반응형